Natural Classes of Speech Sounds
American English 의 Consonants 와 Vowels 는 아래 표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Obstuents 는 Stop, Fricate, affricates 를 포함한 개념이며
Glide는 음가가 모음과 동일하지만 음절의 핵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모음이 아닌 자음으로 분류된다.
Consonantal 과 Soronant 는 직역하면 각각 자음성과 공명성으로 이는 정반대의 개념이다.
Syllabic 은 음절의 핵 위치에 오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
Nasal 은 단어 그대로 Nasal 여부이다
아래는 모음에 대한 표인데, 사실 그냥 그 사다리꼴 표 그릴 줄 알면 아래는 외울 필요 없을 것 같다.
The Rules of Phonology
Phonemic representation 과 phonetic representation 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즉 음소적 표현이 어떻게 음성학적 표현으로 발음되는지는 규칙에 따라서 정해진다.
1. Feature-Changing Rules
하나의 phoneme 이 특정한 상황에서 다른 음소의 영향을 받아서 feature 가 변하는 것을 Assimilation Rules(동화작용)이라고 한다.
이 동화작용에는 다음 소리를 예상하는 anticipation(순행동화), 그리고 이전 소리를 고집하는 perseveration(역행동화)가 있다.
(1) Manner assimilation
조음 방식을 따라가려 하는 동화이다.
Vowels are nasalized / before a nasal consonant / within the same syllable.
후속 자음으로 인해 선행되는 모음이 비음화 되는 현상이다.
이는 / 로 끊어놓은 1, 2, 3번 각각의 조건에 따라 적용된다.
1. 모음은 비음화 될 수 있다.
2. Nasal 자음에 선행된다면.
3. 단, 같은 음절 안에 있어야 한다.
den의 경우 ~(비음화 표시)이 붙음으로서 모음의 비음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denote의 경우 e에 비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den이 하나의 음절인 반면에 denote는 de/note 두 개의 음절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는 음절의 경계를 뜻하며
#은 단어의 경계를 표시한다.
Vowels become nasalized / in the enviroment before nasal segments / with a syllable
서술형 답변으로도 쓰일 수 있을만한 정리된 문장이라고 함
(2) Voicing assimilation
voicing 값이 동화되는 voicing assimilation 현상이다.
이는 접사가 붙기 전 마지막 형태소의 voicing 값에 따라 동화되는 현상을 뜻한다.
예시를 보면 /t/ 가 -voice 이기 때문에 복수형 -s 의 기본형인 /z/ (+voice)가 아닌,
/s/ (-voice)로 쓰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Place assimilation
뒤에 오는 음소의 조음점을 따라가는 조음점동화이다.
위 예시에 있는 세 가지 단어의 실제 발음이 모두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각 /m/ /n/ /응/ 인데, 이는 모두 바로 뒤에 따라오는 음소의 성격을 따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각 bilabial, alveolar, velar sound 이다.
이는 선행되는 phoneme을 따라간 것이 아닌 후속 phoneme의 성격을 따라갔기 때문에 역행동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임용영어 기록 >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7) (0) | 2025.02.21 |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6) (0) | 2025.02.14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4) (0) | 2025.01.13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3) (0) | 2025.01.10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2) (2)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