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는 비교적 짧았다. 대신 상당히 자세하고 디테일한 부분을 짚고 넘어갔다.
이걸 줄글로 풀어낼 수 있으려나.. 싶은데 일단 씁니다....
Voiceless sounds: aspirated vs unaspirated
Voiceless sounds는 vocal chord가 닫히는 timing 에 따라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로 Aspirated. 간단하게 말해서 Voiceless sound 가 끝났음에도 잠깐 Vocal chord가 열려있는 현상이다.
'pit' 에서 /p/ 는 입술에서 공기를 막았다가 release 하며 소리를 내는데, 다음으로 오는 철자인 /i/ 는 모음(유성음)이기 때문에 성대가 close 되어 진동이 생겨야 하지만, 잠시동안은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진동하지 않는 현상을 Aspirated 라고 한다.
두 번째로 Unaspirated. aspirated 와 반대로 입술이 열리자마자 진동이 일어나는 현상을 뜻한다.
예시로는 'spit' 을 들 수 있다.
'pit' 에서 /p/ 는 한글로 ㅍ 을 나타내며
'spit' 에서 /p/ 는 한글로 ㅃ 을 나타낸다.
위처럼 같은 철자이지만 다른 소리가 나는 것을 allophone 이라고 한다. 이는 의미의 변화를 가지고 오지 않는다.
의미 변화를 불러오는 phoneme(음소)은 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자음을 구분하는 세 가지 방법으로만 구분된다.
1. place of articulation (조음점) 2. manner of articulation (조음방법) 3. vocing(진동유무)
다시 말해, aspirated 와 unaspirated는 음소, 자음을 구분하는 방법이 아니다.
Nasal and Oral sounds
[b] [p] [m] 은 모두 bilabilal sound 이다. 모두 입술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release 하며 소리를 만들어낸다.
[p] 는 [b] 와 [m] 과 다르게 voiceless sound 이며,
[m]은 [b]와 다르게 nasal sound 이다.
정리하면 [p] 는 bilabial voiceless oral
[b] 는 bilabial voiced oral
[m] 은 bilabial voiced nasal 이다.
nasal sound 라고 공기의 흐름이 oral cavity로 아예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다만 air stream이 코로도 이동한다는 특징을 더 가지고 있을뿐이다.
[d] 와 [g] 는 velum(연구개)가 올라가며 코로 가는 공기의 흐름을 막으며 소리가 난다.
반면에, [n] 과 [ŋ] 은 velum 이 내려가며 공기의 흐름이 코로도 향할 수 있게 한다.
아 음성학 진짜... 재미있다 하하!
'임용영어 기록 > 음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영어학ㅣPhonetic, 음성학(6) (2) | 2024.11.29 |
---|---|
임용영어학ㅣPhonetic, 음성학(5) (1) | 2024.10.18 |
임용영어학ㅣPhonetic, 음성학(4) (0) | 2024.10.11 |
임용영어학ㅣPhonetic, 음성학(2) (0) | 2024.10.04 |
임용영어학ㅣPhonetic, 음성학(1) (2)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