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similation Rules
이전 글이 assimilation(동화작용)과 관련된 내용이었다면
반대 개념인 dissimilation(이화작용)에 관련된 내용이다.
dissimilation은 닮아가지 않으려 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주로 두 개의 음이 붙어있음으로 인해 조음이 어려운 경우, dissimilation 현상이 나타난다.
Fricative dissimilation rule
Fricative sound가 연달아 발음되며 후속되는 fricative sound가 선행되는 fricative와 달라진다.
위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철자 상 [fifth]로 발음되어야 할 단어가
실제로는 후속 fricative sound가 stop sound로 이화되어 [fift]로 발음된다.
Liquid dissimilation rule
stem의 끝에 liquid /l/이 있다면 단어의 어미는 [r]로 발음이 된다.
Segment Insertion and Deletion Rules
consonant 혹은 vowel을 첨가하는 Segment Insertion은 epenthesis 즉, 음 첨가라고 말 할 수 있다.
Insertion rule
명사를 복수형으로 만들 때 일반명사가 sibilant(치찰음)으로 끝난다면 기본형인 /z/가 아닌,
앞에 /슈와/를 붙여서 /슈와z/가 붙는다.
Insert a [슈와] before the plural morpheme /z/ when a regular noun ends in a sibilant, giving [슈와z].
Deletion rule
We often delete the unstressed vowels in words
종종 강세 없는 모음을 삭제하고 발음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다.
accent가 붙은 모음만 발음되고 accent가 붙지 않은 모음은 발음이 생략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펠링을 아래 처럼 쓰라는 게 아님
또한 강세는 모음에 붙는 것이 아닌 syllable이 가지는 것이다.
모음에 accent 표시를 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지만,
accent는 vowel이 아닌 syllable의 것
21년도 기출에 "강 약 약" accent 가 "강 약" accent 로 "약" 하나가 삭제되는 이유가 나왔다고 한다.
답은 영어가 "강 약" 리듬(foot)을 선호하는 언어이기 때문
Delete /g/ rule
왼편에 있는 단어들에서는 /g/가 발음이 되지 않지만
오른편의 단어들은 모두 /g/가 발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1) nasal consonant 에 선행하며 word-initiall에 오거나,
(2) syllable-final nasal consonant(음절 마지막 자음이 비음)에 선행할 때
/g/가 삭제된다.
From One to Many and from Many to One
간단하게 정리해서 하나의 음소가 여러 소리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소리가 여러가지 음소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A phoneme realized as several phones.
A phone realized as several phonemes.
위 사진의 문장에서 root morpheme은 단어에 접사가 붙지 않은 형태라고 한다.
unbelievable을 예시로 들면 un - believe - able 에서 believe 가 root morpheme 인 것.
[슈와]는 모든 English Vowel phoneme의 Allophone이다.
The function of Phonological Rules
Phonological rules의 역할은 앞 글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Phoneminc representation을 Phonetic representation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Prosodic Phonology(운율)=Suprasegmental(초분절)
이전에도 한 번 언급한적 있었던 것 같은데
Prosodic phonology는 운율을 뜻하며 이는 Suprasegmental 즉 초분절과 같은 뜻이다.
- 음절은 sound pattern rule이 적용되기 때문에 phonological unit이며 하나 이상의 음소로 이루어진다.
- 모든 음절은 nucleus(핵)를 가지고 있으며 nucleus는 일반적으로 vowel이다. (liquid, nasal과 같은 성절자음이라는 예외도 있다)
- nucleus는 앞뒤로 최소 하나의 Onset 혹은 Rime(Rhyme)을 보유할 수 있다.
이때 Onset은 최대 3개의 음소, Coda는 4개의 음소를 가질 수 있으며 0개일 수도 있다.
'임용영어 기록 >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7) (0) | 2025.02.21 |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5) (0) | 2025.02.12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4) (0) | 2025.01.13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3) (0) | 2025.01.10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2) (2)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