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eads of the Sentence

문장은 항상 tense를 가지고 있다. tense(시제)는 동사를 통해 기술되는 event 혹은 state의 time-frame을 제공한다.

modal, 법조동사는 시제를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예문 a는 문법적으로 이상이 없지만,

예문 b의 경우에는 may/must/can이 과거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과거의 의미를 가진 부사 yesterday가 올 수 없다.

 

Sentence는 이러한 Tense를 Head로써 가진다.

 

T'의 T는 tense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아무튼 T의 Complement(VP)와 결합되어 T'가 되고,

그 T'가 Specifier(NP=Subj)와 결합되어 TP, 즉 Sentence가 된다.

TP는 IP(Inflection)이라고도 한다.

 

TP의 왼쪽 daughter인 NP는 Subj 역할을 하고, 오른쪽 daughter인 T'는 predicate(술부; 주어에 대해 진술하는 동사 이하 부분)이다.

왼쪽 예시의 경우는 T'의 T가 modal인 may로, tense가 내재되어 있지만

오른쪽 예시의 경우는 modal 이 없어서 T에 시제요소인 +pst(past tense)만 붙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Infinity of Language Revisited

N' 구조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무한한 문장 구조를 위와 같은 수형도, tree diagram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N' -> A N' 와 같은 구조가 무한히 반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A는 Adjunct이다.

위의 표를 보면 Adjective가 N'의 Adjunct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장 하위 daughter인 N'는 N과 complement로 나뉠 수 있다. (왼쪽 표)

N'와 같은 문장 구조 없이는 문장 구조를 올바르게 표현할 수 없다.

단적인 예시로 N' 없이 모두 NP로 처리해버린다면 위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

N의 Sister 역할을 할 수 있는 Determiner가 오면 안될 자리에 와버려서(가장 하위 daughter)

*good the book 이라는 비문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PP recursion

N'개념을 활용하여 N'가 무한히 확장 가능했듯이, PP(전치사구)도 동일하게 V' 개념을 활용하여 무한하게 확장 가능하다.

PP(preposition phrase)는 complement 개념이 아니다. V'의 sister이다.

V'의 sister이자 A, 즉 adjunct라고 볼 수 있다.

N'가 A로 무한히 확장됐던 것과 동일하다.

 

The difference between a complement and an adjunct

지지난 글이었나 아무튼 중의적인 문장을 분석했던 적이 있는데

구조적인 문제로 중의적인 문장을 X'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해보려 한다.

첫번째로 Sue가 telescope를 도구로 사용한 경우이다.

saw(V) the man(NP)가 포함된 V'가 PP(with the telescope)를 만나 V'가 되고 다시 VP가 된다.

PP(with the telescope)가 V'의 sister인 것이다.

반면에, Sue가 telescope를 가지고 있는 man을 본 의미인 경우,

PP(with the telescope)는 N'의 sister, N'의 Adjunct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X' 개념을 활용하여 tree diagram으로 중의적인 문장을 분석할 수 있다.

Grammatical Dependencies

여기서 Grammar는 Rule로 생각하면 편하다. Grammar는 화자의 지식을 반영한다(당연).

첫 번째 예로 동사의 수일치 개념을 설명한다.

종종 위와 같은 선형적인 설명(Linear Agreement Rule)을 하는데, 이는 올바른 설명이 아니다.

위의 설명은 벌써 아래 예문 a, b, c 에서의 동사 수일치를 올바르게 설명하지 못한다.

 

위와 같이 Sturcture dependent agreement rule로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쉽게 말해서 지금까지 공부한 X' rule, structure rule로 grammar rule을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는 의미이다.

verb agrees in person and number, 즉 동사의 수일치는 S에게 immediately dominate 받는 NP의 head(subject)를 따라가야 한다. 이 얼마나 정확한 설명인가. 이게 통사론의 매력인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The Internal Structure of Phrase

1) Heads, Complements, and Selction

Head는 핵어, Complement는 보충어(보어 아님), Selection은 단어 그대로 선택이다.

NP는 N이 core, VP는 V가 core... 등의 규칙을 확인할 수 있다.

[ ] 안에 있는 단어들은 PP인데, PP가 Complement 역할을 한다.

PP가 어떻게 Complement가 되지..? 싶을 수도 있는데,

NP가 Subj(주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쉽다.

V, P, N 등은 lexical category인 반면, complement는 phrasal category이다.

Complement는 항상 head 바로 옆에 오며 head의 의미를 완벽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2) Selection

2-1) C-selection or subcategorization(하위범주화)

C-selection의 C는 Category를 뜻한다.

Complement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문장에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선택적이라는 단어 선택이 애매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필요한 곳에는 꼭 쓰여야 한다.

그것을 결정해주는 것이 Head의 속성이며, 이러한 head의 속성에 따라 Complement의 필요가 결정된다.

'find'는 타동사여서 NP complement를 꼭 필요로 한다.

위 예문에서 "the ball"은 목적어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Complement(보충어)의 역할도 한다.

"find"라는 head가 NP라는 category를 select 한 것이다. 즉, C-selection이다.

반대로 "sleep"은 자동사이다.

자동사는 complement를 필요로 하지 않드다.

각각의 head에 관련된 어휘정보는 이미 머리 속(lexical)에 있다.

 

2-2) S-selection(의미적 선택)

여기서 S는 Sementic을 뜻하며 선택제약이라고도 불린다.

동사가 주어/목적어의 의미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는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 "!"는 의미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 문장을 뜻한다.

동사 'murder'은 주어 혹은 목적어가 살아움직이는 대상이어야 하며, 'quaff'는 주어가 생물, 목적어는 액체여야 한다.

이와 같이 동사가 주어/목적어의 의미를 제약하고 선택하는 것을 S-selection이라고 한다.

문법/의미적으로 잘 구성된 문장은 최소한 두 가지 요소를 충족한다.

Phrase Structure Rule, Selection requirements(C-selection, S-selection)에 적절한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2-3) The Three Levels of Phrases

Specifier는 head의 Sister보다는 head와 complemet로 구성된 Phrase(N')의 Sister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한다.

"the mother of John"

위 문장에서 "the"가 specifier, "mother"이 Head 그리고 "of John"이 Complement이다.

소제목이 Phrase의 3단계인데, 위 표를 보면 이유를 알 수 있다

head(N)와 Complement(PP)가 합쳐진 node는 NP라고 할 수 없으며 N'(N바)로 표시해야 한다.

그 이유는 위 예시의 오른쪽 표를 보면 알 수 있다.

N'가 아닌 NP로서 성립이 되려면 "my(specifier) the dog(NP)"가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비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N보다는 크고 NP보다는 작은 N'라는 개념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를 정리하면 위와 같다. 우선, Head와 Complement로 구성된다.

Complement는 Head의 Sister이며 바로 옆에 와야한다. Phrase level에 속하며 C, S-selection 현상이 있다.

Specifier의 위치는 Head의 Sister가 아닌, head와 complement로 이루어진 N'의 sister이다.

N-bar(N')는 NP가 아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hrase Structure Trees

Tree diagram은 한국어로 수형도..

계속 반복되는 내용인데, 아무튼 통사론에서는 hierarchical 한 diagram을 사용해야함

 

Terminologies

2점짜리 기입형으로 나올만한 내용이라 강조하셨다.

통사론에서 dominate는 상위 노드가 하위 constituent 를 관할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Every higher node dominate all the categories beneath it.

예시로는 S(sentence)는 NP(noun phrase)를 관할한다

 

다음 개념으로는 "sister" 이 있다.

우측에 조그맣게 그려놓은 수형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같은 위치에 있는 unit의 관계를 sister 관계라고 한다.

 

수형도는 grammatical relation을 명확하게 정의하는데 도움을 준다.

 

Subject는 행위의 주체, Object는 동작의 대상이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있는데,

"The ball rolled down the hill" 이 문장에서는 위 정의가 성립되지 못한다.

 

하지만 subj의 정의를 S에 의해 직접 관할 받는 constituent로 정의한다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와 비슷하게 obj도 VP에 의해 직접 관할 관계로 정의할 수 있다.

The subject which is an Np, is dominated by S,

The object which is an NP, is dominated by VP

깔끔허다

 

Phrase Structure Rules

Phrase structure rule.. 구 구조 규칙

구 구조 규칙은 단어를 Phrase로 만들어주는 규칙이다.

h. 의 C는 종속절을 만들 때 쓰이는 complementiser의 약자이다.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I think) [that (he is honest)]

that은 C이며 (he is honest)는 S이다. C + S = CP

 

Building Phrase Structure Trees

뭐 이런식으로 수형도가 만들어진다는 것 같은데..

아래에 언급할 내용이지만 여기도 비슷한 내용이다.

만들어질 수 있는 문장이 무한한만큼 수형도의 수도 무한하다.

하지만 phrase structure rule은 유한하며 이러한 유한함으로 무한을 만들어내는 것을 공부하는 것이 통사론

 

The Infinity of Language: Recursive Rules

바로 위에 언급했던 내용과 같이 문장에 내포절이 끝없이 붙음으로 이론상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을 Recursive Clause 라고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Constituent structure

앞의 글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통사론을 공부할 때는 flat diagram이 아닌,

위의 예시와 같이 hierarachical한 tree diagram을 사용해야 한다.

 

Prepositional Pharse

PP라고 다 과거분사가 아니다.. 전치사구도 PP로 줄여쓰더군요.. 아무튼

1번 예시 같은 경우, Jack이 언덕을 뛰어 올라가는 것을 의미하며 [up the hill]이 하나의 constituent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잭의 청구서가 쌓였다는 의미를 가진 2번 예시의 경우

run up the bill이 constituent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run up]이 Verbal Phrase로, 뒤에 오는 [the bill]과 세트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2번의 경우 run up 이라는 VP와 함께, [run up the bill]이라는 표현이 관용어처럼 쓰인다고 한다.

우리는 원어민이 아니기 때문에 move-as-a-unit test를 했을 때 저것이 비문인지 정문이지 쉽게 알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암기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흠 그럼 도대체 얼마나 많은 표현을 암기해야 되는거지

 

Structural Ambiguity

Ambiguity 즉, 문장의 중의성은 크게 아래 세 가지 카테고리로 인해 생겨난다.

(1) Lexical ambiguity

다의어 때문에 문장이 중의적으로 해석되는 경우이다.

예시의 smart는 "영리한, 욱신거리다" 라는 아예 다른 뜻을 가지고 있다.

 

(2) Structural Ambiguity

위 예문은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데

a의 경우 Sue가 남자를 망원경을 통해 본 것이고

b의 경우 Sue가 그냥 망원경을 들고 있는 남자를 본 것이다.

이 차이는 위와 아래의 tree diagram으로 표현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참고해보면 "Sue가 망원경을 통해 남자를 본 경우"에는 [the man with the telescope]가 constituent가 되지 못한다.

[the man]과 [with the telescope]가 각각 다른 constituent로 작용하여 해당 unit 만을 모두 포함하는 node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망원경을 가지고 있는 남자를 그냥 본 경우"에는 [the man with the telescope]가 하나의 constituent로 인정받는다.

해당 unit을 모두 포함하는 node가 있기 때문이다.

 

Syntatic Categories

통사적범주 그냥 쉽게 말해서 품사이다. 하지만 통사론에서는 품사보다는 주로 Category, 범주라는 단어를 사용한다고 한다.

Native speaker들은 이러한 syntatic category를 unconscious하게 이미 알고 사용한다고 한다.

"Syntatic categories are part of a speaker's knowledge of syntax"

 

가장 위의 예시에서 "The child" 자리를 어떤 것으로 바꿀 수 있을까 했을 때,

Syntatic category가 unconscious 하게 장착된 Native speaker는 무의식적으로 NP를 갖다넣는다는 것이다.

 

Lexical and Functional Categories

위에 언급된 Category에 대한 소개다.

Lexical categories에 포함되어 있는 Preposition은 functional category로 분류되기도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entence Structure

Sentence Structure는 발화자의 언어적 지식을 정확하게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문장을 flat 한 형태로 구분하곤 한다. (아래 예시)

위 diagram 은 단순히 S, V, O word order를 나타내준다. 

하지만 통사론을 공부할 때는 아래와 같이 hierarchical 한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다이어그램처럼 하나의 sentence 안에 (a puppy)가 가장 작은 constituent로 존재하고

그 위에 (the child) (found a puppy)가 또다른 constituent로 존재한다.

문장은 위와 같은 subunits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constituent로 명명할 수 있으며

constituent(구성성분)이 되기 위해서는 node(그림의 빨간점) 아래 있는 모든 단어가 포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node 에 (a puppy)가 포함되어 있다면 (a), (puppy)는 node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뜻이다.

당연한 사실도 임용에서는 영문으로 증명, 서술해야 하기 때문에... 원서를 읽어야되겠구나.,....

Constituents and Constutuency Tests

하지만 여기서 (found a)는 constituent가 되지 못하는데,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아래 서술할 세 가지 Test를 참고할 수 있다.

(1) "Stand alone" test = "Sentence fragment" test

(A puppy)가 constituent임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질문 A에 대한 답변으로 (A puppy)가 홀로 쓰일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실제로 답변 B를 봤을 때, A puppy는 문법, 의미상 아무 문제 없지만 (found a)는 홀로 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replacement by a pronoun" test

해당 constituent가 pronoun 대명사로 대체될 수 있는지 여부로 증명할 수 있다.

위 예문에서는 (a puppy)가 대명사 (him)으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a puppy)가 constituent 자격을 가진다.

또한 두 번째 예문에서 (found a puppy)가 (did)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constituent 자격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3) "move-as-a-unit" test

d

(a puppy)를 문장 여기저기로 옮길 수 있는지 여부로 증명하는 방법이다.

a, b, c 예문 모두 문법, 의미적으로 아무 문제 없기 때문에 (a puppy)는 movement test에 통과하여 constituent 자격을 증명했다.

 

(4) 'The puppy played [in the garden]' - Is the PP a constituent?

기출이 이런 느낌으로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pp는 past particle 이 아니라 prepositional phrase 이다.. 순간 뇌정지 왔었음

a, b, c, d 각각 sentence fragment, replacement, movement test 를 통과하기 때문에 (in the garden)은 constituent 임을 알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통사론, Syntax는 유한한 수의 언어 요소들을 가지고 무한한 수의 언어 구조를 만드는 능력을 다룬다.

All spoken language is governed by rules - the set of rules is called a grammar

모든 언어들은 특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는 이러한 규칙을 "문법"이라 일컫는다.

What the Syntax Rule do

Syntax rule은 Noun, Verb와 같은 Word들을 Phrase(NP, VP ...)로 그리고 Phrase를 Sentence로 만들 수 있게 돕는다.

Word -> Phrase -> Sentence

또한 Syntax rule은 주어, 술어, 목적어와 같은 grammatical relation을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누가 무엇을 누구에게 하는지).

 

The word order of a sentence is crucial to its meaning

(당연한 소리지만)단어의 순서는 문장 전체의 의미에 영향을 끼친다.

 

Grammaticality 와 Meaningfulness 는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문법성과 의미성은 동일한 개념이 아니라는 뜻인데 위의 예시를 보면 이해가 빠르다.

위의 예시 a, b 는 문법적으로 아무 문제도 없으나 말이 되지 않는 문장이다.

이번 예시는 문법성부터가 글러먹은 예시들이다.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적인 rule 에 순응해야 한다. 원어민들의 이러한 무의식적 언어 rule을 들여다보는 것이 Syntax이며, 이는 학교에서 흔히 배우는 prescriptive grammar(규범문법)과는 다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Word Stress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영어에서 강세는 Vowel이 아니라 syllable, 그리고 Content word(내용어)에 붙는다.

내용어는 명사, 형용사 부사와 같은 단어들이고 반대의 개념으로는 전치사, 관사, 지시사 같은 function word(기능어)가 있다.

 

Stress가 들어간 syllable은 Stress가 들어가지 않은 syllable 보다 두드러진다.(당연한 소리)

또한 Stress가 어디에 들어가냐에 따라서 단어의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위의 예시와 같이 Pervert 는 stress가 어디에 들어가는지에 따라 명사 "변태" 혹은  동사 "왜곡하다"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Stress는 Phoneme과 동일하게 영어에서 의미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다시 한 번 Stress는 Syllable의 property이다. Vowel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Syllable에 적용되는 것.

이러한 Stress는 Pitch에 변화를 주고, louder, longer 하게 만든다. 

Intonation

Sentence와 Phrase에도 Stress가 적용되는데 이는 Inton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Word Stress와 동일하게 의미변화를 야기하기 때문에 Suprasegmental이기도 하다.

위에도 언급했듯이 Stress는 Pitch에 영향을 끼친다. Pitch contour = intonation

Intonation도 Stress가 어디에 적용되는지에 따라서 문장 전체의 의미에 영향을 끼친다.

예시는 아래와 같다.

이러한 Intonation 덕분에 실제 발화에서는(원어민..) 중의적인 문장을 덜 헷갈리게 들을 수 있다.

Sequential Constraints of Phonemes (Phonotactics)

특정한 Phoneme이 연속적으로 오지 못하는 규칙을 뜻한다.

Phonotactics = 음소배열론

*는 문법적 오류가 있다는 표시

 

우선 모든 Phonotactic constrains는 Syllable 단위로 한정되어 제약이 적용된다.

Syllable이 떨어져있으면 Phonotactic의 제약이 적용되지 않는다.

1. 같은 음절 안에서 stop consonant 바로 뒤에는 stop consonant가 오지 못함

2. liquid consonant 뒤에는 vowel이 와야만 한다.

3. chill, Jill sound로 단어가 시작된다면 다음 소리는 vowel이 와야만한다. (위 예시 참고)

4. Consonant가 3개 붙으면 /s/가 첫 번째, stop sound가 두 번째, approximent가 세 번째 (다음은 vowel)

Lexical Gaps

앞서 언급한 Phonotactic constrains에 위배되지 않지만 의미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를 의미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Dissimilation Rules

이전 글이 assimilation(동화작용)과 관련된 내용이었다면

반대 개념인 dissimilation(이화작용)에 관련된 내용이다.

dissimilation은 닮아가지 않으려 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주로 두 개의 음이 붙어있음으로 인해 조음이 어려운 경우, dissimilation 현상이 나타난다.

 

Fricative dissimilation rule

Fricative sound가 연달아 발음되며 후속되는 fricative sound가 선행되는 fricative와 달라진다.

위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철자 상 [fifth]로 발음되어야 할 단어가

실제로는 후속 fricative sound가 stop sound로 이화되어 [fift]로 발음된다.

 

Liquid dissimilation rule

stem의 끝에 liquid /l/이 있다면 단어의 어미는 [r]로 발음이 된다.

 

Segment Insertion and Deletion Rules

consonant 혹은 vowel을 첨가하는 Segment Insertion은 epenthesis 즉, 음 첨가라고 말 할 수 있다.

Insertion rule

명사를 복수형으로 만들 때 일반명사가 sibilant(치찰음)으로 끝난다면 기본형인 /z/가 아닌,

앞에 /슈와/를 붙여서 /슈와z/가 붙는다.

Insert a [슈와] before the plural morpheme /z/ when a regular noun ends in a sibilant, giving [슈와z].

Deletion rule

We often delete the unstressed vowels in words

종종 강세 없는 모음을 삭제하고 발음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다.

accent가 붙은 모음만 발음되고 accent가 붙지 않은 모음은 발음이 생략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펠링을 아래 처럼 쓰라는 게 아님

 

또한 강세는 모음에 붙는 것이 아닌 syllable이 가지는 것이다.

모음에 accent 표시를 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지만,

accent는 vowel이 아닌 syllable의 것

 

21년도 기출에 "강 약 약" accent 가 "강 약" accent 로 "약" 하나가 삭제되는 이유가 나왔다고 한다.

답은 영어가 "강 약" 리듬(foot)을 선호하는 언어이기 때문

 

Delete /g/ rule

왼편에 있는 단어들에서는 /g/가 발음이 되지 않지만

오른편의 단어들은 모두 /g/가 발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1) nasal consonant 에 선행하며 word-initiall에 오거나,

(2) syllable-final nasal consonant(음절 마지막 자음이 비음)에 선행할 때

/g/가 삭제된다. 

 

From One to Many and from Many to One

간단하게 정리해서 하나의 음소가 여러 소리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소리가 여러가지 음소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A phoneme realized as several phones.

A phone realized as several phonemes.

 

위 사진의 문장에서 root morpheme은 단어에 접사가 붙지 않은 형태라고 한다.

unbelievable을 예시로 들면 un - believe - able 에서 believe 가 root morpheme 인 것.

 

[슈와]는 모든 English Vowel phoneme의 Allophone이다.

 

The function of Phonological Rules

Phonological rules의 역할은 앞 글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Phoneminc representation을 Phonetic representation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Prosodic Phonology(운율)=Suprasegmental(초분절)

이전에도 한 번 언급한적 있었던 것 같은데

Prosodic phonology는 운율을 뜻하며 이는 Suprasegmental 즉 초분절과 같은 뜻이다.

- 음절은 sound pattern rule이 적용되기 때문에 phonological unit이며 하나 이상의 음소로 이루어진다.

- 모든 음절은 nucleus(핵)를 가지고 있으며 nucleus는 일반적으로 vowel이다. (liquid, nasal과 같은 성절자음이라는 예외도 있다)

- nucleus는 앞뒤로 최소 하나의 Onset 혹은 Rime(Rhyme)을 보유할 수 있다.

이때 Onset은 최대 3개의 음소, Coda는 4개의 음소를 가질 수 있으며 0개일 수도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