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s of the Sentence

문장은 항상 tense를 가지고 있다. tense(시제)는 동사를 통해 기술되는 event 혹은 state의 time-frame을 제공한다.

modal, 법조동사는 시제를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예문 a는 문법적으로 이상이 없지만,
예문 b의 경우에는 may/must/can이 과거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과거의 의미를 가진 부사 yesterday가 올 수 없다.
Sentence는 이러한 Tense를 Head로써 가진다.

T'의 T는 tense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아무튼 T의 Complement(VP)와 결합되어 T'가 되고,
그 T'가 Specifier(NP=Subj)와 결합되어 TP, 즉 Sentence가 된다.
TP는 IP(Inflection)이라고도 한다.

TP의 왼쪽 daughter인 NP는 Subj 역할을 하고, 오른쪽 daughter인 T'는 predicate(술부; 주어에 대해 진술하는 동사 이하 부분)이다.
왼쪽 예시의 경우는 T'의 T가 modal인 may로, tense가 내재되어 있지만
오른쪽 예시의 경우는 modal 이 없어서 T에 시제요소인 +pst(past tense)만 붙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Infinity of Language Revisited

N' 구조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무한한 문장 구조를 위와 같은 수형도, tree diagram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N' -> A N' 와 같은 구조가 무한히 반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A는 Adjunct이다.
위의 표를 보면 Adjective가 N'의 Adjunct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장 하위 daughter인 N'는 N과 complement로 나뉠 수 있다. (왼쪽 표)

N'와 같은 문장 구조 없이는 문장 구조를 올바르게 표현할 수 없다.
단적인 예시로 N' 없이 모두 NP로 처리해버린다면 위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
N의 Sister 역할을 할 수 있는 Determiner가 오면 안될 자리에 와버려서(가장 하위 daughter)
*good the book 이라는 비문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PP recursion

N'개념을 활용하여 N'가 무한히 확장 가능했듯이, PP(전치사구)도 동일하게 V' 개념을 활용하여 무한하게 확장 가능하다.

PP(preposition phrase)는 complement 개념이 아니다. V'의 sister이다.
V'의 sister이자 A, 즉 adjunct라고 볼 수 있다.
N'가 A로 무한히 확장됐던 것과 동일하다.
The difference between a complement and an adjunct
지지난 글이었나 아무튼 중의적인 문장을 분석했던 적이 있는데
구조적인 문제로 중의적인 문장을 X'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해보려 한다.

첫번째로 Sue가 telescope를 도구로 사용한 경우이다.
saw(V) the man(NP)가 포함된 V'가 PP(with the telescope)를 만나 V'가 되고 다시 VP가 된다.
PP(with the telescope)가 V'의 sister인 것이다.

반면에, Sue가 telescope를 가지고 있는 man을 본 의미인 경우,
PP(with the telescope)는 N'의 sister, N'의 Adjunct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X' 개념을 활용하여 tree diagram으로 중의적인 문장을 분석할 수 있다.
Grammatical Dependencies

여기서 Grammar는 Rule로 생각하면 편하다. Grammar는 화자의 지식을 반영한다(당연).
첫 번째 예로 동사의 수일치 개념을 설명한다.

종종 위와 같은 선형적인 설명(Linear Agreement Rule)을 하는데, 이는 올바른 설명이 아니다.
위의 설명은 벌써 아래 예문 a, b, c 에서의 동사 수일치를 올바르게 설명하지 못한다.

위와 같이 Sturcture dependent agreement rule로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쉽게 말해서 지금까지 공부한 X' rule, structure rule로 grammar rule을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는 의미이다.
verb agrees in person and number, 즉 동사의 수일치는 S에게 immediately dominate 받는 NP의 head(subject)를 따라가야 한다. 이 얼마나 정확한 설명인가. 이게 통사론의 매력인가
'임용영어 기록 > 통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5) (0) | 2025.03.07 |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4) (0) | 2025.02.28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3) (0) | 2025.02.27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2) (0) | 2025.02.24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1)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