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월 점검에 이어 8월로 돌아왔습니다. 사실 아주 길게 보고 넣는 계좌여서 매달 기록을 남기는 게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우연히 이 글을 타고 들어와서 보게 되시는 분께 약간의 동기부여와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라는 마음으로 글을 써봅니다.

본문에 첨부될 스크린샷은 글 작성일인 9월 5일 기준입니다.


직전 글에 작성하였듯이 24년도 9월 초 주식 시장은 상당히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좋은 실적을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의 주요 지수와 국내 주식시장도 영향을 받아 함께 하락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큰 하락장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익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게 장기 투자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지금 같은 하락장은 오히려 기회로 다가옵니다.

문제는 투자할 시드가 당장은 더는 없다는 것이겠지만.....


이 투자를 시작한 지 1년이 다 되어갑니다.

지금까지 받은 배당금을 꾸준히 정리하고 있는데, 나스닥과 S&P과 같은 분기배당 상품을 제외하더라도 배당금이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니 배가 불러집니다. 조금 비싼 점심 한 끼면 날아갈 돈이지만.. 복리의 기적을 바라보며 월급장발장은 오늘도 야금야금 모아갑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월 현황과 수익률 점검에 이어 7월로 돌아왔습니다.

 

진작에 이렇게 잔잔한 투자를 꾸준히 할 걸.. 이라는 생각을 해보지만 지금이라도 시작한 게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월배당으로 이제는 조금 비싼 점심값 +@를 받고 있습니다.

이 금액이 언젠가는 유의미한 용돈이 되는 금액이 되길 바라며..


요즘 보는 종목들

아래는 요즘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는 종목들입니다. 레버리지는 무서워서 못 들어가겠구요


 

최근에는 다우존스 추종(슈드 ETF) 보다 나스닥100 그리고 S&P500에 비중을 두어 추가구매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추가 구매를 하는 금액이 매우 귀엽고 보잘 것 없다는 슬픈 사실을 남깁니다..

 

그렇게 불을 타는데도 수익률은 떨어질 생각을 안합니다.. 물론 언젠가는 내리는 날도 있겠지만 저 친구들은 걱정이 안되네요

3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거나 대공황이 오지 않는 이상 영원한 폭락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SOL 미배당 헷지 상품과 TIGER 상품이 양전을 했습니다!

워낙 고점에 들어갔던터라 최근에는 계속 파란불이었는데 계좌가 다 빨간 걸 보니 편안해지네요

장기투자라면 헷지가 크게 의미가 없다는 분들이 있어서 TIGER, SOL, ACE로 분산해보려 합니다

조만간 수수료를 다시 따져봐야겠네요


기술주 추가 구매

 

또한 최근 AI를 직접 활용하기 시작했는데, 기술의 가능성이 범상치 않음을 피부로 느껴서 관련 기술주도 함께 사고 있습니다.

아주 먼 옛날 용돈으로 삼전 살 때처럼 조금씩 모아보려 합니다

요즘 환율이 너무 비싸네요 ㅠ

 

다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원래는 네이버 블로그에 기록, 정리해두던 내용이지만 그쪽은 트래픽이 많아져도 별 도움이 안되고..

뭔가 돈 얘기를 대놓고 하기 꺼려져서 티스토리로 카테고리를 옮겼습니다.

제목처럼 제 포폴은 나스닥, s&p 500 ETF / 미국다우존스 지수 추종 ETF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근에는 따로 적금하는 것과 큰돈 나갈 일이 조금 있었어서 적립식 투자에 많은 비중을 두지 못했었습니다.

꾸준한게 생명인데.. 대학원생 벌이가 그렇게 넉넉했으면 다들 대학원생 하겠죠..

 

그러는 동안 나스닥과 S&P500은 끝이 어디인지 모를 정도로 우상향 중이었고..

schd(슈드, 다우존스추종)는 약간의 조정을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개인적으로는 SOL ETF가 조금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서 고점에 팔고 TIGER로 조금씩 같이 들어갔는데

그때가 워낙 SCHD ETF가 고점일 때라서 지금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어차피 슈드는집 살 때나.. 은퇴 후에 쓰려고 모으는 상품이라 마이너스를 기록해도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습니다

젊은 투자자의 경우 포모(fomo)를 대비해서 포트폴리오 전량을 schd etf에 넣는 것 보다는

나스닥, s&p500 이나 기술주에도 적절하게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남들은 이이이이이만큼 벌었다는데 나만 야금야금 벌고 있으면 조금 억울하잖아요,,

 

기술주 얘기를 한 김에 써놓지만, 최근 Chat GPT와 AI 관련한 기술을 직접 사용하며 느낀 건데

AI는 지금도 저평가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이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가 두렵고 기대됩니다..

근거를 물으신다면 그냥 직접 사용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투자는 모두 본인의 선택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