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게시글과 비슷한 주제가 이어진다.
명사의 복수형 -s가 아닌, 동사의 과거형을 나타내는 형태소 -d 의 발음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과 적용은 지난번 -s 때와 동일한 절차를 밟는다.
-d 는 세 가지 발음으로 나뉜다. [d], [t], [슈와d]. 여기에서 기본형은 /d/ 이다.
우선 Set A/B/C의 공통점을 찾은 후, 그 공통점을 공식화한다. 이는 아래와 같다.
이 공식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일반동사가 non-nasal alveolar stop sound 로 끝난다면 기본형인 -d 앞에 슈와를 붙여 [슈와d]를 만든다.
2. 만약 voiceless sound 로 끝난다면 기본형인 -d 를 voiceless sound 인 -t 로 변경한다.
위 규칙도 복수형 -s 규칙과 동일하게 순서를 지켜서 적용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알아본 이러한 것들은 morphophonemic rules 라 일컫는다.
이는 항상 morpheme boundary 안에서만 적용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Phonemes: The Phonological Units of Language
Phonemes 은 음소를 뜻하며 이는 "의미의 변화를 초래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정의는 다음과 같다.
Phonemes are the abstract basic form of a sound as sensed mentally rather than spoken or heard.
여기서 'abstract' 는 'physical' 과 반대되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abstract 한 개념으로는 phoneme 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physical 한 개념으로는 phone(음) 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위 세 단어에 쓰인 /t/ 는 [ ] 안에 있는 각각의 소리들로 다르게 발음된다.
하지만 이를 듣는 원어민은 이 /t/ 들이 모두 같은 소리라고 인식한다. (abstract, mentally)
하지만 physical 하게는 모두 다른 소리이다.
즉, phone(음)으로 생각했을 때는 모두 다른 소리이지만,
phoneme 으로 생각했을 때는 같은 /t/ 이며 이는 음소와 관련지어서 allopho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한 번 phoneme, 음소는 의미의 변화를 초래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임용영어 기록 >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6) (0) | 2025.02.14 |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5) (0) | 2025.02.12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4) (0) | 2025.01.13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3) (0) | 2025.01.10 |
임용영어학ㅣPhonology, 음운론(1) (0)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