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ence Structure
Sentence Structure는 발화자의 언어적 지식을 정확하게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문장을 flat 한 형태로 구분하곤 한다. (아래 예시)
위 diagram 은 단순히 S, V, O word order를 나타내준다.
하지만 통사론을 공부할 때는 아래와 같이 hierarchical 한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다이어그램처럼 하나의 sentence 안에 (a puppy)가 가장 작은 constituent로 존재하고
그 위에 (the child) (found a puppy)가 또다른 constituent로 존재한다.
문장은 위와 같은 subunits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constituent로 명명할 수 있으며
constituent(구성성분)이 되기 위해서는 node(그림의 빨간점) 아래 있는 모든 단어가 포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node 에 (a puppy)가 포함되어 있다면 (a), (puppy)는 node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뜻이다.
당연한 사실도 임용에서는 영문으로 증명, 서술해야 하기 때문에... 원서를 읽어야되겠구나.,....
Constituents and Constutuency Tests
하지만 여기서 (found a)는 constituent가 되지 못하는데,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아래 서술할 세 가지 Test를 참고할 수 있다.
(1) "Stand alone" test = "Sentence fragment" test
(A puppy)가 constituent임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질문 A에 대한 답변으로 (A puppy)가 홀로 쓰일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실제로 답변 B를 봤을 때, A puppy는 문법, 의미상 아무 문제 없지만 (found a)는 홀로 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replacement by a pronoun" test
해당 constituent가 pronoun 대명사로 대체될 수 있는지 여부로 증명할 수 있다.
위 예문에서는 (a puppy)가 대명사 (him)으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a puppy)가 constituent 자격을 가진다.
또한 두 번째 예문에서 (found a puppy)가 (did)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constituent 자격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3) "move-as-a-unit" test
(a puppy)를 문장 여기저기로 옮길 수 있는지 여부로 증명하는 방법이다.
a, b, c 예문 모두 문법, 의미적으로 아무 문제 없기 때문에 (a puppy)는 movement test에 통과하여 constituent 자격을 증명했다.
(4) 'The puppy played [in the garden]' - Is the PP a constituent?
기출이 이런 느낌으로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pp는 past particle 이 아니라 prepositional phrase 이다.. 순간 뇌정지 왔었음
a, b, c, d 각각 sentence fragment, replacement, movement test 를 통과하기 때문에 (in the garden)은 constituent 임을 알 수 있다.
'임용영어 기록 > 통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6) (1) | 2025.03.11 |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5) (0) | 2025.03.07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4) (0) | 2025.02.28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3) (0) | 2025.02.27 |
임용영어학ㅣSyntax, 통사론(1)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