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he Internal Structure of Phrase

1) Heads, Complements, and Selction

Head는 핵어, Complement는 보충어(보어 아님), Selection은 단어 그대로 선택이다.

NP는 N이 core, VP는 V가 core... 등의 규칙을 확인할 수 있다.

[ ] 안에 있는 단어들은 PP인데, PP가 Complement 역할을 한다.

PP가 어떻게 Complement가 되지..? 싶을 수도 있는데,

NP가 Subj(주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쉽다.

V, P, N 등은 lexical category인 반면, complement는 phrasal category이다.

Complement는 항상 head 바로 옆에 오며 head의 의미를 완벽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2) Selection

2-1) C-selection or subcategorization(하위범주화)

C-selection의 C는 Category를 뜻한다.

Complement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문장에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선택적이라는 단어 선택이 애매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필요한 곳에는 꼭 쓰여야 한다.

그것을 결정해주는 것이 Head의 속성이며, 이러한 head의 속성에 따라 Complement의 필요가 결정된다.

'find'는 타동사여서 NP complement를 꼭 필요로 한다.

위 예문에서 "the ball"은 목적어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Complement(보충어)의 역할도 한다.

"find"라는 head가 NP라는 category를 select 한 것이다. 즉, C-selection이다.

반대로 "sleep"은 자동사이다.

자동사는 complement를 필요로 하지 않드다.

각각의 head에 관련된 어휘정보는 이미 머리 속(lexical)에 있다.

 

2-2) S-selection(의미적 선택)

여기서 S는 Sementic을 뜻하며 선택제약이라고도 불린다.

동사가 주어/목적어의 의미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는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 "!"는 의미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 문장을 뜻한다.

동사 'murder'은 주어 혹은 목적어가 살아움직이는 대상이어야 하며, 'quaff'는 주어가 생물, 목적어는 액체여야 한다.

이와 같이 동사가 주어/목적어의 의미를 제약하고 선택하는 것을 S-selection이라고 한다.

문법/의미적으로 잘 구성된 문장은 최소한 두 가지 요소를 충족한다.

Phrase Structure Rule, Selection requirements(C-selection, S-selection)에 적절한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2-3) The Three Levels of Phrases

Specifier는 head의 Sister보다는 head와 complemet로 구성된 Phrase(N')의 Sister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한다.

"the mother of John"

위 문장에서 "the"가 specifier, "mother"이 Head 그리고 "of John"이 Complement이다.

소제목이 Phrase의 3단계인데, 위 표를 보면 이유를 알 수 있다

head(N)와 Complement(PP)가 합쳐진 node는 NP라고 할 수 없으며 N'(N바)로 표시해야 한다.

그 이유는 위 예시의 오른쪽 표를 보면 알 수 있다.

N'가 아닌 NP로서 성립이 되려면 "my(specifier) the dog(NP)"가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비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N보다는 크고 NP보다는 작은 N'라는 개념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를 정리하면 위와 같다. 우선, Head와 Complement로 구성된다.

Complement는 Head의 Sister이며 바로 옆에 와야한다. Phrase level에 속하며 C, S-selection 현상이 있다.

Specifier의 위치는 Head의 Sister가 아닌, head와 complement로 이루어진 N'의 sister이다.

N-bar(N')는 NP가 아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