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성학(Phonetics)과 음운론(phonology)의 차이를 확실히 하고 시작해야 한다.

음성학은 Speech Sound 즉, 물리적인 소리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며

음운론은 Sound Pattern 즉, 소리의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다시 한번, 음성학은 인간의 말소리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구상의 수많은 언어들이 많은 다른 소리를 지니고 있지만, 이들은 모두 공통적인 class of sounds로 구성되어 있다.


1. Sound Segments(분절음)

또 다시 한번 Speech Sound를 연구하는 학문은 Phonetics 이다. 각각의 소리와 이러한 소리들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연구한다.

Segment를 동사로 해석한다면 분절(나누기)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Sound Segments는 '분절음'이라는 뜻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이 발화할 때 소리는 파동으로 전달되며, 이 파동은 길게 연결된 형태를 띈다. 이러한 파동의 형태로는 그 언어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그 언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인간은 마음의 귀(mind's ear)를 통해 연결된 소리(continuous sound)가 아닌 개별적인 소리(individual sound)를 듣는다. 이러한 'individual sound'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서, 듣는 사람이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예시로,

Bus라는 단어가 발화될 때, Bus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소리이다(continuous sound). 하지만 '영어를 알고 있는 청취자'는 이 continuous sound를 segment 하여 individual pieces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라는 '언어'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언어를 안다' 라는 것의 의미는 듣는 문장을 단어로 분절할 수 있고 그 단어를 sound로 분절할 수 있을 때를 의미한다.

 

Everyone who knows a language knows how to segment sentences into words, and words into sounds


2. Speech Sounds, Like Snowflakes

눈송이는 멀리서 봤을 때 모두 같은 눈덩이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각기 다른 모양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언어도 마찬가지이다.

민수가 발화하는 'cat' 과 철수가 발화하는 'cat' 은 다른 'cat'이다. 사람의 키, 몸무게, 나이, 성별 등의 조건에 따라 그 소리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당 발화를 듣는 청취자는 결국 'cat' 이라는 같은 의미로 이해한다.

 

또한 인간은 언어의 요소를 아래와 같이 자동적으로 구분하고 이해할 수 있다.

"How (cough) are you?" -> "How are you?"

위 예시와 같이 발화 중간의 언어가 아닌 요소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본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발화자마다 다른 pitch levels 와 different rates of speed 그리고 헬맷을 쓰고 말하여 울리는 소리까지 모두 자동으로 필터링하여 본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중등임용에서 공부할 음성학은 acoustic phonetics(음향음성학), auditory phonetics(청각음성학)이 아닌 articulatory phonetics(조음음성학)이다. 이는 화자가 소리를 어떻게 만드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3. The Phonetic Alphabet(발음기호)

Orthography, spelling, 즉, 철자는 언어의 소리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다. 이것이 발음기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할 이유이다. 

예시를 들자면 아래와 같다.

1. Same sound (같은 소리인데 다른 철자) - e, ie, ae, ee, eo, ei, ea, y, oe, ey, i

Did he believe that Caesar could see the people seize the seas?

 

2. various sounds of 'a' (같은 철자인데 다른 소리) 

 My father wanted many a village dame badly.

 

3. a combination of letter for a single sound (하나의 소리가 나는 두 개 이상이 조합된 철자) 

 Sh, ch, th, ph, ea, gh, ou, io, oa, ci, ...

 

4. the single letter 'x' for the two sounds 'ks' (하나의 철자가 두 개 철자의 발음)       

  fix

5. some letters have no sound (묵음)       

  mnemonic, autumn, asthma, corps, honest, chthonic, hole, christmas, psychology, sword, debt, gnaw, bough,                phthalate, island, knot


영어는 자음 24개, 모음 15개(이중모음 포함)의 조합으로 수많은 단어와 문장이 만들어진다.

 

[ə] 'schwa' in 'sofa'

e가 180도 뒤집어진 모양을 하고 있는 발음기호 [ə]는 '슈와'라고 불리는 중성모음이다.

슈와의 특징

- 강세를 받을 수 없음 (not emphasized in speaking)

- 길이가 짧음 (duration is very short)

- [ə] 슈와를 제외한 모든 모음은 강세를 받을 수 있다.

 

w가 뒤집힌 모양인 [ʍ]은 'which'를 '휘치'로 발음할 때 쓰이는 "ㅎㅟ" 발음이다. 현대영어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IPA 표준으로는 r 발음기호를 180도 돌려 [ɹ] 로 사용해야하지만, 보통 귀찮아서 [r]로 사용한다.

 

phonetics, 음성학에서는 spelling이 아닌 pronunciation에 중점을 줘야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